박승원 광명시장 “지속가능발전도시협의회 지원조례 폐지되면 지속가능도시는 과연 가능할까?”
“공존사회를 위해 어떻게 일할지를 함께 고민하고 토론해야. 그것이 정치하는 사람들의 책무”
송준형 기자
locallife@locallife.news | 2024-03-18 23:09:06
[광명=로컬라이프] 송준형 기자 = ‘광명시 지속가능발전도시협의회 지원조례 폐지조례안’이 시의회 상임위를 통과했다.
이와 관련해 박승원 광명시장은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지속가능도시는 과연 가능할까? 지속가능발전도시협의회 지원조례 폐지조례안이 의회 상임위에서 가결되었다”며 “본회의에서도 가결되면 이 사업은 중단하게 된다”고 밝혔다.
박승원 시장은 “1997년 4월부터 시민사회가 논의와 토론을 통해 푸른광명21추진협의회를 만들어 각 분야별 의제를 만들고 시민사회가 공직사회와 함께 긴 세월동안 연대와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발전 사업을 이끌어 왔다”고 말했다.
이어 “광명시 지속협은 전국적으로나 경기도내에서도 아주 잘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동안 환경운동 단체로 인식되어 왔지만 민선 7기, 8기를 거치면서 의제를 재 선정하고 지속협으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광명시가 더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ESG사업까지 확장하며 그 역할을 다해 왔다”며 “그러나 지난해에 의회는 지속협 내부의 갈등을 이유로 3개월치 인권비만 예산을 남겨둔채 나머지 사업비를 모두 삭감했다. 그리고 이번 임시회에서는 아예 지원조례를 폐지한 것이다. 의회의 결정을 존중해야 하는 것인지 자뭇 고민이다. 지속협의 성장은 시민의 성장이다. 좀 더 시민사회와 토론하고 결정해도 늦지 않는데 정말 아쉽다”고 우려했다.
박 시장은 “나는 지역에서 정치하면서 늘 지속협이 논의하고 결정하는 과정을 지켜 보았다. 1997년 4월 15일 토론회를 지켜보면서 이것이 도시의 미래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선거때마다 지속협의 의제를 공부했다. 그 과정에 시민사회와 많은 토론도 거쳐왔다. 선거에 출마하는 후배들에게 항상 지속협의 책을 공부하고 정책이나 공약에 반영하라고 조언하기도 했다”며 “2018년 시장선거를 준비하며 내가 내걸었던 탄소중립 정책의 하나인 기후에너지센터 설립도 2017년 지속협에서 추진한 에너지기획단에 참여하여 함께 공부하며 세운 정책 공약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례가 폐지되어 지속협의 예산 지원 근거도 없어도 그동안 추진했던 사업은 시가 직접 추진할 것이다. 기후에너지센터나 환경교육센터 등 다양한 기구나 부서에서 추진해 나갈 것이다”라며 “다만 이번 기회를 통해서 지속가능발전도시를 위해 시민사회와 기업, 언론, 의회, 공무원 등이 어떻게 할 것인지 다시한번 논의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폐지 조례를 의결한 의회를 탓하고 싶지 않다. 그러나 우리는 공존사회를 위해 어떻게 일할지를 함께 고민하고 토론해야 한다. 그것이 정치하는 사람들의 책무이다. 책임의식을 갖고 함께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locallife@locallife.news
[ⓒ 로컬라이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