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평천서원 숭덕사 춘향대제례’모습. (사진제공=분성 배씨 임당공 종중)
[산청=로컬라이프] 송준형 기자 = ‘평천서원 숭덕사 춘향대제례’(平川書院 崇德祠 春享大祭禮)가 “산청군 향토문화재” 1호로 지정됐다.
1694년(숙종 20년)에 창건된 ‘평천서원’에는 고려개국공신인 배현경(裵玄慶)을 비롯해 배신침(裵愼甚), 배세겸(裵世謙) 세 사람이 배향되어 있다.
‘평천서원 숭덕사 춘향대제례’는 분성 배씨 임당공 종중에서 매해 봉행하고 있다. 올해는 2023년 음 3월 17일 (양 5월 6일) 11:00, 평천서원(산청군 생초면 왕산로 439 (평촌리712-4)에서 다음과 같이 봉행됐다.
平川書院 崇德祠 春享大祭禮 實況
◯ 제수품 진설 (祠堂 4변(籩) 4두(梪))
좌변(左籩) : 魚醢(조기), 牛牲(소고기), 芹菹(미나리(韭菹.부추), 靑菹(무)
우두(右梪) : 脯(명태포), 肉脯(육포), 棗(대추), 栗(밤),
중앙(中央) : 黍(기장). 稻(쌀). 豚牲(돼지고기), 幣帛(폐백)
4. 祭享 現況(제향 현황)
□行 祭禮
○ 祭享禮 笏記(제향례 홀기)
제향을 올리겠습니다.
안경을 벗고 두손을 앞으로 모우고 바른 자세를 하여 주십시오
○ 行 祭禮(행제례 :해설문 순서기재)
▷제 일 축시 5분전에 창찬자는 입실하여 제수를 갖추어 차리시오
▷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동쪽 계단으로 올라가 진설 점검하시오
▷ 축을 개독하고 이어 문밖 위치로 내려가시오
▷아헌관이하 모두 문밖에 차례대로 서시오
▷알자는 축및 제집사를 계단으로 인도하여 북향 서상위로하여 재배하시오
▷관세위에 함께나아가 손을 씻고 각자위치로 가시오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여 제위치로 가기오
▷알자는 초헌관 좌측으로 나아가 삼가 갖추었음을 고하여 행사를 청하고 제위치로 돌아가시오
▷헌관이하 재위자 모두 재배하시오(배,흥,배,흥,)국궁 평신하시오
○ 行 獻幣禮 (행 헌폐례)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로 나아가 북향하여 서서 손을 씻고닦으시오
▢이어 태사 무열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향으로 꿇어 앉으시오
▷집사자는 각기 봉향은 봉합을 봉로는 향로를 받들고 나아가 꿇어앉고 헌관은 향을 세 번 올리시오
▷집사자는 향로를 신위전에 올리시오
▷축관은 폐비를 헌관 드리고 헌관은 폐백을 축관에게 주고 축관은 폐백을받아 신위전에 올리시오
▷초헌관은 부복하고 일어나 재배하시오 ▢ 다음 임당선생 신위전에 나아가 동향으로 꿇어 앉으시오▷집사자는 각기 봉향은 향합을 봉로는 향로를 받들고 나아가 꿇어앉고 초헌관은 향을 세번 올리시오▷집사자는 향로를 신위전에 올리시오▷축은 폐비를 헌관에게 드리고 헌관은 폐백을 축관에게 주어 축관은 신위전에 올리시오▷초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재배하시오 ▢ 다음은 심원제 선생 신위전에 나아가 동향으로 꿇어 앉으시오▷집사자는 각기 봉향은 향합을 봉로는 향로를 받들고 나아가 꿇어앉고 초헌관은 향을 세번 올리시오▷집사자는 향로를 신의전에 올리시오▷축은 폐비를 헌관에게 드리고 헌관은 폐백을 축에게 주어 축관은 신위전에 올리시오▷초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재배하시오 ▢ 다음은 효렴제 선생 신위전에 나아가 서향으로 꿇어 앉으시오▷집사자는 각기 봉향은 봉합을 봉로는 향로로 받들고 나아가 꿇어앉고 초헌관은 향을 세번 올리시오▷집사자는 향로를 신위전에 올리시오▷축은 폐비를 헌관에게 드리고 헌관은 폐백을 축에게 주어 폐백을 신위전에 올리시오▷초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재배 하시오
◯ 行 初獻禮(행 초헌례)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태사무열공 준소로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
▷집사자는 초헌관에게 잔을 드리고 사준은 술통덮개를 들고 술을 따라 초헌 관은 술잔을 집사자에게 주시오
▷이어 태사 무열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향으로 꿇어 앉으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초헌관에게 드리고 초헌관은 집작하여 세 번 나누어 붓고 집사에게 주어 신위전에 올리시오
▷초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조금 물러나 북향으로 꿇어 앉으시오
▷축은 헌관의 좌동향으로 꿇어앉아 독축하고 이어 제자리로 가시오
▷초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재배하시오
▷알자는 배위 준소에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
▷집사자는 초헌관에게 잔을 드리고 사준은 술통덮개를 들고 술을 따르고 초 헌관은 집사자에게 잔을 주시오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임당선생 신위전에 나아가 서향으로 꿇어 앉 으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초헌관에게 드리고 초헌관은 집작하여 세 번 나누어 붓고집사자에게 주어 신위전에 올리시오
▷초헌관은 일어나 재배하시오
▷알자는 배위 준소에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
▷집사자는 초헌관에게 잔을 드리고 사준은 술통덮개를 들고 술을 따라 초헌 관은 집사자에게 잔을 주시오
▷알자는 인도하여 심원제선생 신위전에 나아가 서향으로 꿇어 앉으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초헌관에게 드리고 초헌관은 집작하여 세 번 나누어 붓고 집사자에게 주어 신위전에 올리시오
▷초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재배하시오
▷알자는 배위 준소로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
▷집사자는 초헌관에게 잔을 드리고 사준은 술통덮개를 들고 술을 따라 초헌 관은 잔을 집사에게 주시오
▷알자는 인도하여 효렴제선생 신위전에 나아가 동향으로 꿇어 앉으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초헌관에게 드리고 초헌관은 집작하여 세 번나누어 붓고 집사자 에게 주어 신위전에 올리시오
▷초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재배하시오
▷알자는 배위준소에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
▷집사자는 초헌관에게 잔을 드리고 사준은 술통덮개를 들고 술을 따라 초헌 관은 잔을 집사에게 주시오
◯ 行 亞獻禮 (행 아헌례)
▷찬인은 아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로 나나가 북향으로 서서 손을 씻고 딲으 시오
▷아헌을 인도하여 자세위에 나아가 북향으로 서서 잔을 씻고 딲아서 집사에게 주시오
▷찬인은 아헌관을 태사무열공 준소로 인도하여 서향으로 서시오
▷집사자는 술을 아헌관에게 드리고 사준은 술통덮개를 들고 술을 따라 헌관 은 술잔을 집사에게 주시오
▷찬인은 아헌관을 인도하여 태사무열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향으로 꿇어 앉으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아헌관에게 드리고 아헌관은 술잔의 술을 세 번 나누어붓고 집사자에게주어 신위전에 올리시오
▷아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재배하시오
▷찬인은 아헌관을 인도하여 배위준소로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헌관에게 드리고 사준은 술통덮개를 들고 술을따라 아헌 관은 술잔을 집사에게 주시오
▷찬인은 인도하여 임당선생 신위전에 나아가 서향으로 꿇어 앉으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아헌관에게 드리고 아헌관은 술잔의 술을 세 번 나누어붓고 집사자에게 주어 신위전에 올리시오
▷아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재배하시오
▷찬인은 아헌관을 인도하여 배위준소로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아헌관에게 드리고 사준은 술통덮개를 들고 술을 따라 아 헌관은술잔을 집사에게 주시오
▷찬인은 인도하여 심원제선생 신위전에 나아가 서향으로 꿇어 앉으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아헌관에게 드리고 아헌관은 술잔의 술을 세 번 나누어붓고 집사자에게 주어 신위전에 올리시오
▷아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재배하시오
▷찬인은 아헌관을 인도하여 배위준소로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아헌관에게 드리고 사준은 술통덮개를 들고 술을 따라 아 헌관은 술잔을 집사에게 주시오
▷찬인은 인도하여 이효렴제선생 신위전에 나아가서 서향으로 꿇어 앉으 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아헌관에게 드리고 아헌관은 술잔의 술을 세 번 나누어붓고 집사자에게 주어 신위전에 올리시오
▷아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재배하시오
▷찬인은 아헌관을 인도하여 배위준소로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
◯ 行 終獻禮(행 종헌례)
▷찬인은 종헌관을 인도하여 관세위로 나아가 북향으로 서서 손을 씻고 닦으시오
▷이어 작세위로 나아가 북향으로 서서 잔을 씻고 닦아서 집사자에게 주시오
▷찬인은 태새 무열공 준소로 인도하여 서향으로 서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종헌관에게 드리고 사준은 술통덮개를 들고 술을 따라 종 헌관은 술잔을 집사자에게 주시오
▷찬인은 인도하여 태새무열공 신위전에 나아가 북향으로 꿇어 앉으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종헌관에게 드리고 종헌관은 술잔의 술을 세 번 나누어붓고 집사자에게 주어 신위전에 올리시오
▷종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재배하시오
▷찬인은 인도하여 배위준소로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종헌관에게 드리고 사준은 술통덮개를 들고 술을 따라 종헌관은 술잔을 집사에게 주시오
▷찬인은 인도하여 임당선생 신위전에 나아가 서향으로 꿇어 앉으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종헌관에게 드리고 종헌관은 술잔의 술을 세 번 나누어붓고 집사자에게 주어 신위전에 올리시오
▷종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재배하시오
▷찬인은 인도하여 배위준소로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종헌관에게 드리고 사준은 술통덮개를 들고 술을 따라 종 헌관은 술잔을 집사에게 주시오
▷찬인은 인도하여 심원제선생 신위전에 나아가 서향으로 꿇어 앉으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종헌관에게 드리고 종헌관은 술잔의 술을 세 번 나누어붓고 집사자에게 주어 신위전에 올리시오
▷종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재배하시오
▷찬인은 인도하여 배위준소로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
▷집사자는 술잔을 종헌관에게 드리고 사준은 술통덮개를 들고 술을 따라 종 헌관은 술잔을 집사에게 주시오
▷찬인은 인도하여 이효렴제선생 신위전에 나아가 동향으로 꿇어 앉으시 오
▷집사자는 술잔을 종헌관에게 드리고 종헌관은 술잔의 술을 세 번 나누어붓고 집사자에게 주어 신위전에 올리시오
▷종헌관은 면복하고 일어나 재배하시오
▷찬인은 인도하여 배위준소로 나아가 서향으로 서시오
◯行 飮福禮(행 음복례)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음복위에 나아가 서쪽을 향하여 꿇어 앉으시오
▷집사는 준소로 나아가 음복주를 헌관에게 드리고 헌관은 음졸작 하시고 집 사는 빈잔을 받아 제자리에 놓으시오
▷축은 도마를 가지고 나아가 신위전 조육을 덜어서 헌관에게 드리고 헌관은 받아 맛보고 축에게 주어 제자리 놓고 축은 문밖으로 나가시오
▷헌관은 부복하고 일어나 제자리로 가시오
▷헌관이하 제집사 제위자 모두 재배하시오(배,흥,배,흥.) 국궁평신 하시오
◯ 行 望燎禮(행 망요례)
▷알자는 초헌관을 인도하여 망요위에 북향으로 서시오
▷축은 비에 축문 및 폐백을 담아 구덩이에 태워 묻고 알자는 헌관을 인도하 여 제자리로 가시오
▷알자는 예필을 고하고 모두 나가시오
▷알자는 축과 제집사 배위에 나아가 재배하시오 배흥 배흥 국궁평신 하시고 나가시오
▷찬자 알자 다함께 계간 배위에서 재배하고 축은 독을 닫고 나가시오
※장찬은 그에 속하는 이를 거느려 철예찬을 하고 출입문을 닫고 곧 물러나시오
5. 祝文(축문)
※ 平川書院 崇德祠 春享大祭 祝文(평천서원 숭덕사 춘향대제 축문)
維歲次 檀君紀元 四千三百五十六年 癸卯 三月 戊申 朔 十七日 甲子 幼學◯ ◯ ◯敢昭告于(감소고우)
○ 太師 武烈公 伏以 (태사 무열공 복이)
至文至武 開國元勳 忠國補民 萬世崇享(지문지무 개국원훈 충국보민 만세숭향)
○ 林塘 先生伏以(임당선생 복이)
學旣高明 道亦純粹 允矣崇奉 永世祀事(학기고명 도역순수 윤의숭봉 영세사사)
○ 心遠齊 先生伏以(심원제선생복이)
節義斯卓 勳勞亦盛 其始自今 百世遐享(절의사탁 훈노역성 기시자금 백세하향)
·1 ○ 李孝廉齊 先生伏以(이효렴제선생복이)
學究天人 行著孝廉 懿德淸芬 百世起欽(학구천인 행저효렴 의덕청분 백세기흠)萬惟仲春 恪守歲常 謹以 性幣 禮齊式陳明薦(만유중춘 각수세상 근이성폐 예제식진명천) 尙饗
※忠惠祠 祝文(충혜사 축문)
維歲次 檀君紀元 四千三百五十六年 癸卯 三月戊申 朔 十七日 甲子
幼學◯ ◯ ◯敢昭告于
○ 令同正 老隱公伏以(령동정 노은공 복이)
棄官隱居 眷懷自靖 究學探眞 永世當享(기관은거 권희자정 구학탐진 영세당향)
○ 司僕正公伏以(사복정공복이)
倡義格倭 德惠齊民 敦睦齊盛 事享永尊(창의격왜 덕혜제민 돈목제성 사향영존)
○ 鏡隱公伏以(경은공복이)
倡義保國 通渠沃野 德施惠民 久遠當享(창의보국 통거옥야 덕시혜민 구원당향)
◌ 龍巖公伏以(용암공복이)
倡義格倭 德惠齊民 敦睦齊盛 事享永尊(창의격왜 덕혜제민 돈목제성 사향영존)
玆惟仲春 精禋是宣 謹以 酒果庶羞 修歲事(자유중춘 정인시선 근이 주과서수 수세사)
尙 饗
※ 맺는말
분성배문의 조상대대로 이어져 오는 평천서원 숭덕사에는 배씨의 중시조 이신 ①.태사 무열공(고려 개국원훈) ②.임당선생(1788년 정조 12년에 배향된 성 리학자) ③.심원제선생(임란시 왜적을 물리치신 의금부도사) ④.이효렴제선생 (명종17년 괴산 현감, 1836년 헌종때 추향) 네분의 조상 신위를 모셔두고 매년 춘향 제례를 지내는 사당으로서 그 제례의 특징은
1. 제물의 진설 방법이 다르고 (祠堂 4籩 4梪)
2. 제기는 나무제기와 죽세공 제기로서
▫목기는 일반 제사에 사용하는 제기와는 달리 제기의 굽이 높고 위는 둥굴고 깊게 파인 것으로 濕需(습수)를 담고
▫죽세공 제기는 대나무로 엮어서 제작한 목기 모양의 굽이 높고 위는 둥글고 깊게 파인 것으로 乾需(건수)를 담는다
3. 진설하는 방법과 제물은 좌변(左籩) 4변 : 魚醢(조기), 牛牲(소고기), 芹菹(미나리 (韭菹.부추), 靑菹(무) 우두(右梪) 4두 : 脯(명태포), 肉脯(육포), 棗(대추), 栗(밤), 중앙(中央) : 黍(기장). 稻(쌀). 豚牲(돼지고기), 幣帛(폐백)
위와같이 진설하되 제수품은 불에 익히거나 삶지 않고 생태 그대로 진설하는 것이 특징이다
배성한 분성 배씨 종친회장은 2023년 음 3월 17일(양력 5월6일) 11:00 춘향대제 당일은 많은 비가 오는데도 불구하고 전국 각처에서 종원들과 배씨문중 제관들이 많이 모여 예정된 식순에 따라 특별 초빙되신 분들이 참관하신 가운데 분정 맡은 제관 19명이 비를 맞으면서도 집례자의 행 제례 홀기(笏記)에 따라 엄숙하게 잘 진행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배 회장은 지난 6월 2일 ‘산청 평천서원 춘향제례’가 ‘산청군향토문화재 보호관리 조례’ 제7조에 따라 산청군 향토문화재로 지정됐다면서, 그동안 노력해주신 모든 관계자 분들께 깊이 감사드리고, 특히 향토문화재 1호로 지정된 만큼, 앞으로 사명감을 갖고 산청군의 제례문화 발전에 모범이 될 수 있도록 전통을 잘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 로컬라이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