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제2차 비상경제 위기대응 점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출처=염태영 페이스북) |
[경기=로컬라이프] 송준형 기자 = 경기도는 8일, 염태영 경제부지사 주재로 ‘제2차 비상경제 위기대응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와 관련해 염태영 부지사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최근 미 연준이 4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강행하면서, 이번 달 안에 우리나라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고 현 경제 상황을 진단하며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이자도 감당못할 정도로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다. 1~2년 전, 초저금리 상황에서 ‘영끌’에 나섰던 청년, 서민 등이 최근 대출금리가 연 8%에 이르게 됨에 따라, 대출자의 파산을 막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장의 소상공인은 물가보다 금리인상에 따른 피해가 더욱 크다고 호소하고 있다”며 “소상공인 통계에 따르면 금리가 1% 인상 되면 평균적으로 약 4만 개의 업체가 대출이자에 대한 심각한 압박을 받게되며, 이자와 원금부담으로 월평균 가용 소득이 160만 원씩 줄어든다고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최근 코로나로 인해 대출이 늘어난 소상공인들은 금융지원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또한 현재는 저신용 등급자에 대한 지원책을 넓혀서, 최근 급격히 어려워진 4등급 이상 대상자에 대해서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높다”며 “대출이 많은 중소기업은 매출이 커질수록 원자재 가격 및 금리 인상으로 인해 역설적으로 적자가 커지는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모두에게 금융정책의 선제적 조치가 절실한 실정이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도의회에서 한 달 이상을 묶여 있던 제2차 추경 예산안이 조만간 의결되면, 그 예산의 집행이 즉시, 그리고 충분한 수준으로 이뤄지도록 미리 준비할 것을 주문했다”며 “현장 수용성이 없는 정책은 누구의 눈물도 닦지 못하고, 희망 고문만을 낳을 뿐이다. 특단의 대책이 절실한 이 때, 도와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및 관련기관 간 긴밀한 협의를 통해 보다 실효성 높은 실사구시 정책을 마련하고, 이를 즉시 시행하도록 다시 한번 강조했다”고 밝혔다.
locallife@locallife.news
[ⓒ 로컬라이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