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하수슬러지 처리시설, 미세먼지 주범인‘황산화물’배출 현저히 낮아

LIFE STORY / 성장미 기자 / 2019-07-30 10:41:34


진주하수슬러지처리시설


진주시에서 운영하는 하수슬러지처리시설의 대기 오염물질 배출량이 2019년 상반기 정산결과 허용 기준치보다 현저히 낮게 배출되고 있어 진주시의 대기질 개선에크게 기여하고 있다.

특히 시에 따르면 대기 미세먼지발생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는 황산화물의 배출량은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허용기준 40ppm에 훨씬 못 비치는 0.52ppm미만으로 배출 1일 평균 0.04kg이며 상반기 측정 지수 26회 중 19회에 걸쳐 황산화물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진주하수슬러지처리시설의 처리용량은 1일 100톤이며 시는 지난 2010년 12월192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설치하여 현재까지 운영중이다.

또한 진주하수슬러지처리시설은 대기배출저감 시설인 무촉매환원장치, 여과집진장치, 세정집진장치등을 갖추고 있으며주1회 대기상태를 측정한 결과 매연제로, 먼지5.94mg/s㎥, 질소산화물65.34ppm , 일산화탄소25.24ppm, 염화수소 1.31ppm이 배출되고 있다.이는시설의 예방정비와 운영효율성 향상으로 허용 배출기준보다 현저히 낮게 운전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시는 2016년 진주공공하수처리시설 소화조 효율개선 사업을 통하여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된 소화가스를 슬러지 탄화의 열원으로 사용하여 연간 화석연료사용량 2억 6000만원의 예산을 절감하고 있다.

특히 가동후 2만 6442톤의 하수슬러지 탄화물을 삼천포화력발전소의 보조연료로 공급하여 3억 8500만의 수입 대체효과를 거뒀다. 또한 폐가스 연소로의 고온폐열로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태워 중화시킴으로써 주변 공원지역을찾는 시민들에게 쾌적한 대기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진주하수슬러지처리시설은 간접가열 무산소열분해 탄화 방식으로 시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환경시설관리에 위탁하여 관리하고 있다.

[ⓒ 로컬라이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성장미 기자 성장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