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7월 16일, 여의도 경기중앙협력본부에서 'K-컬처밸리 복합개발사업'과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소속 고양시 지역구 국회의원들과 면담을 가졌다. 사진 왼쪽에서부터 김성회 국회의원(고양시 갑), 김영환 국회의원(고양시 정), 김동연 경기도지사, 이기헌 국회의원(고양시 병). (사진제공=경기도) |
[경기=로컬라이프] 박봉민 기자 = 'K-컬처밸리 공영개발'이 지난 3월부터 검토됐다는 일부의 의혹 제기에 대해 경기도가 "가짜뉴스"라고 반박했다.
4일, 경기도는
브리핑에서 경기도는 "김동연 지사는 K-컬처밸리 공영개발 방식을 CJ와의 사업협약 해제 이후인 지난 7월 처음 보고받았다. 경기도가 발표한 공영개발은 지난 7월 행정1부지사를 단장으로 한 TF회의에서 최초로 논의하고 추진한 사항이다"라고 밝히며 "K-컬처밸리 공영개발 문제는 '진실공방'이나 '진실게임'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지난 3월부터 검토했다는 주장은 한마디로 '가짜뉴스'이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했다.
그 근거로써 지난 3월 국토부에 보낸 공문을 제시했다.
경기도는 "공문의 핵심 내용은 CJ에 대한 중앙정부 차원의 '획기적 지원'을 요구하는 것이었다"며 "'공영개발'은 CJ의 사업배제를 의미한다. '3월 공영개발설'은 경기도가 이미 CJ와의 계약 해제를 내심 결정해 놓았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경기도는 3월에 CJ에 대한 중앙정부의 획기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그것도 공식 문서로 말이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경기도는 CJ와의 사업협약 해제를 원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경기도는 "2024년 6월 30일 종료되는 기본 협약의 연장을 위해서 꾸준히 노력해 왔으나 불가피한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며 "협약 해제를 하지 않고 사업 기간이 지나면 권리의무 관계가 종료된다. 그럴 경우 협약 실효로 CJ가 K-컬처밸리를 건립할 의무가 없어지고, 지체상금 부과도 무효가 되며, 매각 토지 환수 등의 문제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업기간 동안 있었던 모든 효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계약 해제를 통보한 것이다"라며 "사업협약 해제는 'K-컬처밸리 사업을 지키기 위한 선택'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동연 지사가 어제 도정질문 답변에서 누차 강조했듯이, 경기도는 원형 그대로, 책임 있는 자본을 확충해, 신속하게 K-컬처밸리 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이다"라고 밝혔다.
locallife@locallife.news
[ⓒ 로컬라이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